트럼프 미국 대통령, 전 세계에 관세 유예… 중국은 예외
2025년 4월 9일(미국 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해 90일 동안 관세 부과를 유예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최근 발표된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전 세계가 크게 긴장하던 가운데 나온 조치입니다.
많은 국가들이 안도하는 분위기지만, 중국만은 예외였습니다.
오히려 중국에는 기존 104%에서 125%로 관세율을 인상하는 강경한 대응을 선택했죠.

90일간 관세 유예, 트럼프의 전략적 한 수?
트럼프 대통령은 “신뢰할 수 있는 국가들과는 대화로 풀겠다”며
전 세계 75개국 이상의 협상 요청에 따라 상호주의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반발했던 국가들에게 ‘대화의 문’을 열어둔 조치로 보이며,
일종의 ‘조건부 유예’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겐 더 강한 압박 – 125% 관세 폭탄
반면, 중국에는 기존보다 더 높은 125%의 관세가 적용됩니다.
트럼프는 중국이 미국의 요구에 반응하지 않고,
오히려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협상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 글로벌 시장 반응 – 안도와 긴장 공존
이 발표 직후, 미국 증시는 역대급 반등을 보여주었습니다.
- S&P 500 지수는 9.52% 상승 → 5,456.90 마감
- 다우존스 지수 7.9% 상승, 나스닥은 12.2% 상승
이는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과의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중국과의 갈등은 더욱 격화될 것이라는 불안감도 존재합니다.
🌍 각국의 반응은?
- 유럽연합: 미국의 유예 조치를 환영하며, 보복 관세를 잠정 보류하고 협상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 일본: “매우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히며 관세 면제를 위한 적극적 외교에 나서겠다는 입장입니다.
- 중국: 보복 관세 강행과 함께, 미국과의 무역 협상 중단 가능성까지 시사하며 강경 대응 중입니다.
- 한국: 유예 대상 국가에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외교 채널을 통해 추가 협상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까?
1) 협상 진전 시
90일 유예 기간 동안 실질적인 협상이 진행된다면,
관세 철회나 축소로 이어지며 글로벌 무역 안정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미중 갈등 격화 시
반면, 중국과의 대립이 심화된다면 기술·에너지·외교 영역까지 전방위 갈등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글로벌 공급망 충격은 피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본 글은 2025년 4월 10일 기준이며, 향후 발표되는 외교적·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정부 발표, 관세청, 외교부 공식 자료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